日本最大規模の韓国書籍専門店が提供する通販サイトです。このサイトに掲載されていない書籍の問合わせも受け付けております。皆様からのご意見・ご感想もお待ちしております。
お問合わせ・ご注文 komabook@komabook.co.jp
Tel:03-3262-6800・6801 Fax:03-3262-6878
カートを見る ヘルプ サイトマップ
書籍 新聞・雑誌 年鑑・統計書類 CD DVD・VIDEO ラジオ 韓国語講座 店舗案内 お役立ち情報 ご意見・ご感想
HOME > 書籍 > 宗教 > 商品詳細
カテゴリごとの検索結果
書籍
雑誌・新聞
年鑑・統計資料
該当する情報はありません。
CD
該当する情報はありません。
DVD・VIDEO
タイトル 釜山国際宣教会40年史
부산국제선교회 40년사(プサンククチェソンギョフェサシムニョンサ)
サブタイトル
価格 ¥14,520(税込)
ISBN 9788964470213
頁数 904
巻数 1
A4
発行日 2024-08-30
出版社 동연 (トンヨン)
著者 釜山国際宣教会40年史 編纂委員会(プサンククチェソンギョフェサシムニョンサピョンチャンウィウォンフェ)

価格特記事項
紹介文(目次) (目次)
발간사:김종찬 목사
편찬사:한영수 목사
축사:서은성 목사/조현성 목사
회고사:김정광 목사

회고와 증언
그 새벽의 다급한 기도에 응답하신 하나님:정봉익 장로
하나님의 손에 이끌리어:김운성 목사
비엔나한인교회가 동유럽 선교 기지가 되다:허준 목사
선교는 교회의 영광이자 축복입니다:정명식 목사
씨 뿌려 거두고:김승희 장로

40년사 발간을 축하드리며
일본 선교사 파송 35주년을 맞이하면서:김병호 선교사
곽현섭 선교사
김문수 선교사
강범수 선교사

책 머리에
황홍렬 교수

제1부 서론

1. 부산국제선교회의 선교 역사 기술 범위와 기술 방식
2. 선교 이해
1) 선교 목표
2) 하나님의 선교
(1) 성령의 선교
(2) 하나님의 나라
(3) 십자가의 선교 방식
3.세계 선교 유형
4. 세계 선교 역사 기술 목적의 변화: 서구 기독교의 확장으로부터 세계 기독교의 형성으로
1) 전통적 선교 역사 기술의 목적: 서구 기독교의 확장
(1) 케네스 스캇 라투렛의 「기독교 확장사」
(2) 폴 E. 피어슨의 「선교학적 관점에서 본 기독교선교운동사」
(3) 스티븐 닐의 「기독교 선교사」
2) 새로운 선교 역사의 기술 목적: 세계 기독교의 형성
(1) 데이나 L. 로버트의 「기독교 선교: 기독교가 어떻게 세계종교가 되었는가?」
(2) 라민 싸네의 「기독교는 누구의 종교인가?: 서구를 넘어선 복음」
(3) 앤드루 F. 월즈
3) 결론
5. 부산국제선교회 40년 선교 역사의 기술 목적
6. 부산국제선교회의 역사 사료와 「부산국제선교회 40년사」의 한계
1) 부산국제선교회의 역사 사료
2) 「부산국제선교회 40년사」의 기술의 한계


제2부 ╻부산국제선교회 선교 역사(1979~2023)

1. 부산국제선교회의 창립 과정과 구성 및 모임(1965~1979)
1) 한국교회의 세계 선교 역사 및 배경
2) 부산국제선교회의 창립 과정과 첫 선교사 파송(1965~1979)
3) 부산국제선교회(한국기독교국제선교회 부산지회)의 목적, 사업, 회원 및 임원회 구성
4) 부산국제선교회의 모임: 선교(회)의 밤, 정기총회, 임원회, 월례회
5) 부산국제선교회의 선교 역량 강화
2. 부산국제선교회의 선교 이해와 선교 원칙
1) 부산국제선교회의 선교 이해
2) 부산국제선교회의 선교 원칙
3) 부산국제선교회의 선교 목적
3. 부산국제선교회의 초기 선교: 인도네시아 선교와 오스트리아 ㆍ 일본 한인 디아스포라 선교를 통한 부산국제선교회 선교의 기틀 마련(1980~1994)
1) 인도네시아 선교의 시작(1980~1982)
(1) 1980년: 한숭인 선교사를 인도네시아로 파송
(2) 1981년: 한국기독교국제선교회 부산지회의 월례 기도회 시작
(3) 1982년: 렙끼와 동역하는 한숭인 선교사의 인도네시아 선교
2) 인도네시아 선교의 발전과 비엔나한인교회를 통한 한인 디아스포라 선교(1983~1988)
(1) 1983년: 장성덕 선교사를 비엔나한인교회로 파송, 제1회 해외선교의 밤
(2) 1984년: 한숭인 선교사의 인도네시아 선교 - 전도, 교육, 봉사, 협력 선교사 파송
(3) 1985년: 부산국제선교회로 개칭
(4) 1986년: 한숭인 선교사의 제2기 파송과 장성덕 선교사의 재파송
(5) 1987년: 비엔나한인교회의 장성덕 선교사 사임과 김상재 선교사 파송 및 국제선교의 밤
(6) 1988년: 인도네시아 선교대표부와 선교 교회 창립
3) 인도네시아 선교 확대와 오스트리아 ㆍ 일본의 한인 디아스포라 선교(1989~1994)
(1) 1989년: 김병호 선교사를 일본으로 파송
(2) 1990년: 비엔나한인교회당 구입 감사 예배, 한숭인 선교사 선교 사역 10주년 기념 조찬 기도회, 오스트리아에 윤병섭 선교사 파송
(3) 1991년: 인도네시아 선교의 확대와 잘츠부르크로 배재욱 선교사 파송
(4) 1992년: 비엔나한인교회의 등기 완료
(5) 1993년: 한숭인 선교사의 입원과 치유, 오스트리아로 이남기 선교사 파송
(6) 1994년: 인도네시아 선교 중단과 김병호 선교사의 조후교회 취임식
(7) 이 시기 부산국제선교회 선교의 특징과 과제(1989~1994)
4. 부산국제선교회 선교의 시련기: 인도네시아 선교의 중단과 오스트리아 선교의 중단, 선교지의 전환과 새로운 선교 전략(1995~1997)
1) 1995년: 선교정책협의회, 한 ㆍ 일 합동 예배, 비엔나한인교회의 선교 중단, 잘츠부르크 김철수 선교사, 알바니아 김기윤 태권도 선교사 파송 및 국제선교회의 밤
2) 1996년: 비엔나한인교회 헌당식, 알바니아 선교 종료, 새로운 선교 전략(현지인과의 협력 선교), 일본 교회 목회자와 신자들의 방문
3) 1997년: 부산국제선교회의 선교 방향을 중국 선교와 미얀마 선교로 전환
4) 부산국제선교회 선교의 시련기(1995~1997)의 특징과 과제
5. 부산국제선교회 선교의 발전기: 중국 선교와 미얀마 선교를 중심으로(1998~2010)
1) 1998년: 오스트리아 한인 디아스포라 선교 종료와 중국 선교 집중
2) 1999년: 중국 교회의 지도자 학습과 미얀마 신학교 교수의 유학비 지원
3) 2000년: 중국 교회 지도자 학습과 미얀마 선교지 방문
4) 2001년: 중국 교회 지도자 학습과 “중국 교회 선교보고서”
5) 2002년: 중국 교회 지도자 학습, 은퇴한 김정광 목사를 중국 선교사로 파송, 미얀마기독교신학교 부지 기증
6) 2003년: 중국 교회 지도자 학습 및 북한 식량 보내기, 미얀마 선교
7) 2004년: 중국 교회 지도자 학습 및 북한 식량 보내기, 미얀마기독교신학교 본관 건축 및 미얀마 선교
8) 2005년: 미얀마기독교신학교 본관 헌당 예배와 중국 교회 지도자 학습
9) 2006년: 김병호 선교사가 재일대한기독교회 총회 서기, 중국 교회 지도자 학습, 김승희 장로를 중국 현지 선교사로 임명
10) 2007년: 중국 교회 지도자 학습, 중국 선교의 모범 사례, 김승희 현지 선교사의 선교보고서
11) 2008년: 중국 교회 지도자 학습, 미얀마 재난 헌금
12) 2009년: 중국 교회 지도자 학습, 곽현섭 선교사를 미얀마 현지 선교사로 임명
13) 2010년: 중국 교회 지도자 학습, 미얀마 선교와 미얀마은혜병원 개원
14) 부산국제선교회 선교 발전기(1998~2010)의 특징과 과제
6. 부산국제선교회 선교의 전환기: 중국 선교로부터 미얀마 선교로의 전환(2011~2018)
1) 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김병호 선교사의 구호 사역, 중국 교회 지도자 학습 중단 및 재개, 미얀마 선교 및 곽현섭 선교사의 사역 시스템 사이클
2) 2012년: 곽현섭 선교사를 미얀마 선교사로 파송, 곽현섭 선교사의 미얀마 선교 전략, 김승희 현지 선교사의 중국 선교 협력, 중국 학습 중단, 김병호 선교사가 총회 동아시아 선교사 코디네이터
3) 2013년: 미얀마 양곤BIM센터 완공과 인레수상센터(MOI) 건축 마무리, 김병호 선교사가 재일대한기독교회 총간사로 취임, 중국 교회 지도자 학습
4) 2014년: 김병호 선교사가 재일대한기독교회 총회 총간사로 취임, 미얀마 양곤BIM센터 헌당식과 인레수상센터(MOI) 헌당식, 중국 교회 지도자 학습, 「목사님 여권 잃어 버렸어요!」 발간
5) 2015년: 미얀마 양곤BIM센터의 자립, 미얀마 인레호수 디베랴의아침교회 교회당 건축, 중국 교회 지도자 학습
6) 2016년: 곽현섭 선교사를 미얀마 선교사로 2기 파송, 사단법인 부산국제선교회 등록, 중국 교회 지도자 학습
7) 2017년: 미얀마 선교의 두 축인 양곤BIM선교센터와 인레수상센터(MOI), 김문수 선교사를 미얀마 선교사로 파송, 김병호 선교사의 나그네 선교, 중국 교회 지도자 학습 진행 후 중단
8) 2018년: 중국 선교 중단, 미얀마 선교의 두 축인 양곤BIM센터와 인레수상센터(MOI), 곽현섭 선교사가 김문수 선교사에게 양곤BIM센터를 이양
9) 부산국제선교회 선교 전환기(2011~2018)의 특징과 과제
7. 부산국제선교회 선교의 심화기: 미얀마 선교의 전략적 발전(2019~2023)
1) 2019년: 미얀마기독교신학교 사역 중단, 양곤BIM센터와 인레수상센터(MOI)로 미얀마 선교 중심의 전환, 김병호 선교사의 30년 근속 표창
2) 2020년: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선교 위축과 긴급구호, 미얀마 따웅지 선교 준비, 재일대한기독교회에 이단 대처 도서 전달
3) 2021년: 코로나 2차 긴급구호, 미얀마 김문수 선교사 코로나 치료, 부산국제선교회 40년사 편찬위원회 구성
4) 2022년: 코로나 3차 긴급구호, 강범수 선교사를 미얀마에 파송, 미얀마 따웅지교회당 건축, 다문화 협력 선교사 파송
5) 2023년: 양곤, 인레, 따웅지, 아웅반을 미얀마 선교 전략의 거점으로 세움, 따웅지에 피난민 위한 예수마을 건립, 따웅지교회 헌당 예배, 아웅반교회 헌당 예배, 일본 김병호 선교사가 재일대한기독교회 총서기로 10년 봉직
6) 부산국제선교회 선교 심화기의 특징과 과제
8. 부산국제선교회 40년 선교 역사의 특징과 과제
1) 부산국제선교회 40년 선교 역사의 특징
2) 부산국제선교회 40년 선교 역사의 과제

제3부 ╻부산국제선교회 주요 선교국의 선교 역사와 협력 선교

1장 ╻인도네시아 선교(1979~1995)

1. 한숭인 선교사의 인도네시아 파송과 초기 인도네시아 선교(1979~1981)
2. LEPKI(인도네시아기독교봉사회)를 통한 인도네시아 선교(1982~1987)
1) 1982년: LEPKI와 협력 선교 시작, 진리신학교 사역, 수라바야한인교회 개척
2) 1983년: 동남아 선교시찰단 방문
3) 1984년: LEPKI를 통한 교회 개척 사역, 교회 지도자 훈련, 구제 사역
4) 1985년: LEPKI 조직 개편과 선교부 협동총무, 신학생 훈련, 단기 신학원, 인도네시아 선교 5주년 기념 예배
5) 1986년: 부산국제선교회가 한숭인 선교사를 단독 파송
6) 1987년: 안식년을 맞아 장신대에서 석사 과정 이수 후 논문 작성 중
7) LEPKI를 통한 인도네시아 선교의 특징
3. 인도네시아 선교 교회와 선교대표부를 통한 선교(1988~1993)
1) 1988년: 자카르타에 선교 교회 창립과 선교대표부 설치
2) 1989년: 이장호 선교사 입국(1988)하여 동역, 이리안자야 선교 여행, 교회 지도자 훈련, 윤선남 평신도 선교사 입국하여 동역, 방송 선교
3) 1990년: 인도네시아 선교 사역 10주년 기념 기도회, 선교 교회의 교회 지도자 훈련, 오지 사역자 파송, 장학 사업 지원, LEPKI의 협력 사역을 위해 신임 선교사들의 선교지 분담
4) 1991년: 선교 교회를 통한 선교 지원, LEPKI를 통한 교회 개척 사역, 방송 선교, 이장호 선교사의 아테샤신학교 사역
5) 1993년: 한숭인 선교사의 중병, 선교 교회의 성장과 선교관 건축 시작, LEPKI와의 협력 사역 확대 및 심화
6) 인도네시아 선교 교회와 선교대표부를 통한 선교 시기의 주요 특징과 과제
4. 인도네시아 선교관을 통한 선교(1994~1995)
1) 1994년: 선교관 헌당 예배, LEPKI 사역
2) 1995년
5. 인도네시아 선교 개관
1) 인도네시아의 기독교 이해
2) 인도네시아 개신교 이해
3) 인도네시아 개신교의 현황과 미래
6. 인도네시아 신학자의 선교 이해
7. 인도네시아 신학자의 선교 협력 이해
8. 대한예수교장로회(PCK) 선교사들의 인도네시아 선교
9. 한숭인 선교사의 인도네시아 선교 이해 - 특징과 평가
1) 한숭인 선교사의 인도네시아 선교 이해
(1) 한숭인 선교사의 선교신학
(2) 한숭인 선교사와 아시아 선교: 가난, 문화, 종교
(3) 선교사와 후원 교회/기관의 바람직한 관계
(4) 인도네시아 교회 이해
2) 한숭인 선교사의 인도네시아 선교의 특징
3) 한숭인 선교사의 인도네시아 선교에 대한 평가
(1) 긍정적 평가
(2) 부정적 평가
10. 부산국제선교회의 인도네시아 선교에 대한 평가와 과제
1) 긍정적 평가
2) 부정적 평가
3) 교훈
2장 ╻오스트리아 한인 디아스포라 선교

1. 비엔나한인교회
1) 비엔나한인교회의 간략한 역사
2) 장성덕 선교사(1983년 9월~1987년 9월 13일)
(1) 1983년: 장성덕 선교사 파송 및 부임
(2) 1984년: 교인과의 마찰, 교회당 이전이나 대여 그리고 선교 기지 활용 제안
(3) 1985년: 교회 상황이 안정되어 간다는 보고와 후원 요청
(4) 1986년: 선교비 증액, 교회당 구입 제안, 2기 파송 선교사 결의, 선교비 분담, 총회 산하 선교지 교회로 등록, 부산노회가 해외 선교지로 인준
(5) 1987년: 선교비 증액 요청, 성전건축위원회 구성, 후임 선교사 요청, 장성덕 선교사 귀국, 현재의 교회당으로 이전
(6) 장성덕 선교사 시기의 오스트리아 선교의 특징과 과제
3) 김상재 선교사(1987년 12월~1990년 11월)
(1) 1987년: 파송
(2) 1988년: 교회 정상화, 교회당 이전, 사택비 요청, 한인 교회 현황 보고
(3) 1989년: 오스트리아 교회가 예배 처소 이전 요청, 호른 목사의 방한, 동유럽 선교의 전초기지 위한 기도, 교회당 구입과 재정 분담 결의
(4) 1990년: 유럽 지역 선교지 방문, 한인 교회당 구입, 구입 감사 예배, 동구권 선교 전망, 장로 선거 연기, 김상재 선교사 귀국
(5) 김상재 선교사 시기의 특징과 과제
4) 윤병섭 선교사(1990년 12월~1993년 12월): 행정처분서, 매매 계약서, 한인 교회의 재정 자립에 관한 공문
5) 이남기 선교사(1994년 1월~1995년 6월)
6) 비엔나한인교회 헌당 예배(1996년 11월 2일)
2. 잘츠부르크한인교회
1) 배재욱 선교사(1991년 7월~1994년 10월 30일)
2) 김철수 선교사(1995년 7월~1998년 6월)
3. 알바니아 선교(1995년 9월~1996년 9월)
4. 부산국제선교회 오스트리아 선교의 특징, 평가와 교훈
1) 특징
2) 긍정적 평가
3) 부정적 평가
4) 부산국제선교회 오스트리아 선교의 교훈

3장 ╻일본 선교 - 김병호 선교사(1989~2023)를 중심으로

1. 일본 선교의 배경과 일본 선교 이해 및 전망
1) 사회적 상황
(1) ‘新 가이드라인 법안’ 성립(1999)
(2) ‘일장기’를 국기(國旗)로, ‘기미가요’를 국가(國歌)로 법제화(1999)
(3) 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핵 참사
(4) 최악의 한일관계 속에서
2) 재일 동포와 재일대한기독교회에 대한 이해
(1) 재일 동포 그들은 누구인가?
(2) 재일대한기독교회(在日大韓基督敎會)
(3) 재일대한기독교회 사회적 태도 표명
(4) 일본국 자민당에 의한 ‘종교의 자유 ㆍ 정교분리 원칙’을 파괴하는 헌법 개정안에 대한 성명
(5) 재일대한기독교회 (Korean Christian Church in Japan, 약칭 KCCJ)
3) 일본 선교 이해
(1) 일본인, 일본 교회, 일본 선교사
(2) 일본의 선교적 전망
(3) 김병호 선교사의 평화 선교
2. 김병호 선교사 파송
1) 우라와한인교회(1989년 5월~1994년 3월)
2) 동경조후교회(1994년 4월~1999년 2월)
3) 조후교회와 재일대한기독교 총회 본부 사역(1999년 3월~2013년 9월)
(1) 1999년: 조후교회 교인의 다양성, 총회 파트 타임 간사, 한일관계 변화, 재일 동포 이해, 재일대한기독교회 소개
(2) 2000년: 성찬주일 합동 예배, 창립 50주년 기념 전도 집회, 일본의 군국주의화
(3) 2001년: 총회 간사 사임, 관동지방회장, 일본 정부 역사 교과서 왜곡 반대 성명
(4) 2002년: 일본 교회에서 전도 집회, 일본 교회와 선교협의회, 한일 NCC 장애인과 교회문제위원회
(5) 2005년: 재일대한기독교회 총회의 전도부, 교육부, 사회부를 통괄하는 선교봉사위원장 1년 봉사 후 총회에서 서기로 선출
(6) 2006년: 총회 서기, 관동지방회 선교 협력부장, 평화론을 신문에 기고
(7) 2007년: 재일대한기독교회 총회 서기로 재선
(8) 2008년: 재일대한기독교회 선교 100주년 기념대회, 해외 한인 교회 디아스포라 교육과 목회협의회
(9) 2009년: 총회 선교위원장, 일본기독교협의회의 동북아시아 위원
(10) 2010년: 총회 선교위원장, JNCC 동북아시아 위원, 일본선교사회 총무
(11) 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핵발전소 참사 긴급구호 및 탈핵 지향
(12) 2012년: 총회 파송 일본선교사회 총무, 동아시아 선교사 코디네이터, 평화헌법 개정 우려
(13) 김병호 선교사의 동경조후교회와 총회 본부 사역 시기의 특징
4) 재일대한기독교회 총회 총간사(사무총장)(2013년 10월~2023년 10월)
(1) 2013년: 총회 총간사, 총회의 헌법 개정안과 사회적 태도에 대한 성명서
(2) 2016년: 김병호 총간사 취임 축하 방문, 이단 대처 활동, 마이너리티 선교
(3) 2017년: 재일대한기독교회 구성원의 다양성, 한일 교회와 세계 교회와 에큐메니칼 협력 선교, 하나님의 선교, 나그네 선교, 평화 선교
(4) 2019년: 소수자 교회라는 자기 이해, 평화통일 선교, 김병호 선교사의 30년 근속 표창
(5) 2020년: 코로나로 인한 예배와 모임의 어려움, 재정적 어려움, 이단 대처 활동
(6) 2022년: 한일관계 악화, 총회 파송 50주년 기념대회, 사이비 이단 대처, 재일 외국인 선교
(7) 재일대한기독교회 총간사 10년(2013~2023) 선교 보고
(8) 총간사 시기의 선교적 특징
5) 재일 동포 선교의 역사와 재일대한기독교회의 특징과 과제
(1) 재일 동포 선교의 역사
(2) 재일대한기독교회에 대한 역사적 이해
(3) 재일대한기독교회 선교의 특징
(4) 재일대한기독교회 선교의 과제
6) 에큐메니칼 협력 선교에 이르게 된 선교신학의 흐름
(1) 역사적 배경
(2) 에큐메니칼 협력 선교의 기원
(3) 국제선교협의회(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1921, 이하 IMC)
(4) 세계교회협의회(WCC)
(5) 협력 선교: 선교 협력으로부터 공동의 증거와 관계망으로
(6) 하나님의 선교와 에큐메니칼 협력 선교
7) 나그네 이해, 나그네 교회론과 소수자 선교에 대한 선교신학적 접근
(1) 나그네에 대한 성서적 이해
(2) 나그네 교회론
(3) 소수자 선교
8) 김병호 선교사의 일본 선교 특징, 평가와 과제
(1) 특징
(2) 긍정적 평가
(3) 부정적 평가
(4) 교훈
(5) 과제

4장 ╻중국 선교

1. 배경
1) 중국 개관
(1) 국가 소개
(2) 인구와 민족
(3) 정치와 경제
(4) 상하이(上海) 개관
2) 중국 방문단의 중국 기독교 이해
3) “중국의 종교 정책”: 리우수상
4) 중국 기독교 이해와 중국의 종교 정책: 김승희 현지 선교사
(1) 중국의 종교 인구와 기독교 인구
(2) 중국 특색의 중국 교회 심층 이해
(3) 중국의 교회 정책
5) 필립 위커리: 21세기의 문턱에 있는 중국 - 에큐메니칼 대화, 교회의 전망
(1) 역사적인 인식의 필요
(2) 중화인민공화국과 기독교에 대한 역사적 인식
(3) 중국 교회와의 에큐메니칼 대화 주제
(4) 중국 교회와 에큐메니칼 대화와 비전
6) 중국 선교 전략: 김승희 현지 선교사
(1) 직업을 통한 선교 전략
(2) 단기 선교/비전 트립을 통한 선교 전략
2. 중국 선교의 기초 수립(1995~1996): 지도자 학습을 통한 중국 선교 전략 수립
3. 중국 선교의 정착기(1997~2001)
1) 1997년: 중국 선교의 필요성과 효과적인 중국 선교 방법 제안
2) 1998년: 중국 선교를 위한 교회 지도자 교육(학습)
3) 1999년: 중국 처소장 학습에 집중
4) 2000년: 중국 교회에서 처소장 대상 학습반 연 4회 교육
5) 2001년: 처소장 학습, 교회학교 교사 강습
6) 중국 선교 정착기(1997~2001)의 특징과 과제
4. 중국 선교의 발전기(2002~2010)
1) 2002년: 김정광 선교사 임명, 처소장 학습 및 중국 교회 지원
2) 2003년: 김정광 선교사 파송, 처소장 학습, 교회 지원, 장학금 및 북한 식량 보내기
3) 2004년: 학습, 중국 교회 지원, 교회당 건축 보조, 보일러 구입 지원, 탈북자 지원 및 북한 식량 보내기
4) 2005년: 학습, H교회 입당 예배, 교회당 건축 및 지원, 북한 식량 보내기
5) 2006년: 중국 선교 10년의 성과인 교회당 건축(13), 학습(40), 교회 지원, 김승희 장로를 현지 선교사로 임명
6) 2007년: 학습, 중국 교회 지원, H교회 본당과 교육관 헌당 예배, 탈북자 지원 및 북한 식량 보내기, 김승희 장로의 비전 트립, 중국 선교 모범 사례
7) 2008년: 학습, 중국 교회 지원, 탈북자 지원 및 북한 식량 보내기
8) 2009년: 학습, 중국 교회 지원, 탈북자 지원, 현지 선교사인 김승희 장로의 선교
9) 2010년: 학습, 중국 교회 지원
10) 중국 선교 발전기(2002~2010)의 특징과 과제
5. 중국 선교의 전환기(2011~2017)
1) 2011년: 학습 중단 및 재개, 중국 교회 지원, 김승희 현지 선교사의 제안
2) 2012년: 학습 중단, 김승희 현지 선교사의 선교 사역(의료선교, 비전 트립, 인재 양성, 찬양 사역 지원)
3) 2013년: 학습 재개, 중국 교회 지원, 주소원 선교사의 제안(이양과 선교 중국)
4) 2014년: 학습, 중국 교회 지원, 미얀마 선교에 비해 중국 선교 비중이 감소
5) 2015년: 학습, 중국 교회 지원
6) 2016년: 학습, 중국 교회 지원, 송금 일원화 요청
7) 2017년: 두 차례 학습 후 중단, 농촌 교회 지원
8) 중국 선교 전환기의 특징과 과제
6. 중국 선교의 모색기(2018~2022): 중국에서 선교사 추방 및 선교 중단
1) 2018년: 선교사 추방과 선교 중단, 중국 선교 여행 보고
2) 2019년: 농촌 교회 지원과 중국 교회를 위한 기도
3) 2020년: 제3국에서 중국 선교하는 중화권 선교사와 협력
4) 2021년: 세 중화권 협력 선교사의 활동과 몽골 다문화 선교
5) 중국 선교 모색기의 특징과 과제
7. 중국 기독교와 중국 선교 이해
1) 중국 선교 역사에 대한 이해
(1) 중국 선교 역사
(2) 의화단 사건(1900)에 대한 롤란드 알렌의 반성(1912)
(3) 에딘버러세계선교대회(1910)에 나타난 중국 선교의 의의와 한계
(4) 중국 공산화(1949)에 대한 빌링엔국제선교협의회(IMC)의 반성(1952)
2) 중국 개신교 개관
(1) 역사적 배경
(2) 중국 정부의 종교 정책
(3) 중국 교회의 특징과 목회
(4) 삼자애국운동 50년의 의의와 전망
(5) 가정교회
(6) 중국 기독교 신학의 분류
(7) 기독교의 중국화를 위한 신학적 재건
(8) 신학 교육
(9) 중국 교회의 현황
(10) 중국 교회의 변화와 발전
(11) 교회와 사회
(12) 세계 교회와의 관계
(13) 중국 기독교의 도전과 전망
8. 한 ㆍ 중 교회의 교류
1) 한국기독교협의회의와 중국기독교협회의 교류
2) 한국 복음주의권 교회와 기관과 중국 국무원 종교사무국과 중국기독교협회의 교류
3) 한중 교회 교류의 장애와 바람직한 교류 태도
4) 한중 교회 교류의 공통 분모와 과제
9. 한국 기독교의 중국 선교에 대한 성찰과 과제
1) 한국 기독교의 중국 선교 현황
2) 한국 기독교의 중국 선교에 대한 성찰
(1) 중국 선교의 문제
(2) 중국 선교의 문제에 대한 성찰
(3) 중국 선교의 대안을 찾아서
10. 부산국제선교회 중국 선교의 특징
11. 부산국제선교회의 중국 선교에 대한 평가
1) 긍정적 평가
2) 부정적 평가
12. 부산국제선교회 중국 선교의 교훈



5장 ╻미얀마 선교

1. 미얀마 이해
1) 역사와 정치
2) 사회적 상황
(1) 지리
(2) 다양한 인종 구성 국가
(3) 교육
(4) 보건
3) 경제
4) 교회
2. 미얀마 선교의 초기 역사(1997~2000)
3. 미얀마기독교신학교 중심의 선교(2001~2008): 미얀마기독교신학교 지원과 교회 개척 지원
1) 2001년: 방문단이 미얀마기독교신학교 방문, 신학교 부지 계약 및 일부 송금
2) 2002년: 미얀마기독교신학교 부지 구입비 지원, 신학교 두 교수의 한국 유학 지원
3) 2003년: 미얀마기독교신학교 부지 7,500평 기증 및 교회 개척 사역, 교장 리앙망 목사 박사과정 시작, 서울과 해외 미얀마 성도들이 건축비 일부 헌금
4) 2004년: 미얀마기독교신학교 가건물을 새 건물로 완공 및 교회 개척 사역
5) 2005년: 미얀마기독교신학교 본관 건축 및 헌당 예배, 교회 개척 지원, 목회자 생활비 보조
6) 2006년: 미얀마기독교신학교 졸업생이 개척한 교회와 목회자 지원
7) 2007년: 제13회 미얀마기독교신학교의 졸업식에 부산국제선교회 임원과 회원 참여
8) 2008년: 사이클론 나르기스 피해 복구 지원, 미얀마기독교신학교 현황
9) 미얀마기독교신학교 중심 선교의 특징과 과제
4. 미얀마 선교의 전환기(2009~2013): 곽현섭 선교사 파송, 신학교 사역의 변화
1) 2009년: 미얀마신학교 사역, 곽현섭 선교사와 선교 협력, 시범농장 사업, 양계 사역
2) 2010년: 미얀마기독교신학교 사역, 은혜병원 개원, 곽현섭 선교사의 미얀마 선교의 비전과 전략
3) 2011년: 곽현섭 선교사의 회사 등록, 미얀마 사역 시스템 사이클 다섯 과정, 세 개척교회
4) 2012년: 직업훈련 과정 수료생 중 25명 취업, 탄자욱삔교회와 아오밍글라교회 자립, 개척지원 및 현지인 전문인 선교사 파송
5) 2013년: 양곤BIM센터 완공, 인레수상센터(MOI) 건축 진행
6) 미얀마 선교 전환기의 특징과 과제
5. 미얀마 선교의 발전기(2014~2017): 미얀마 선교의 두 축인 양곤BIM센터와 인레수상센터(MOI)의 구축 완료
1) 2014년: 양곤BIM센터 헌당식과 인레수상센터(MOI) 헌당식, 양곤 국제유치원 개원
2) 2015년: 국제유치원을 통한 양곤BIM센터의 자립, 인레수상센터의 활동과 디베랴의아침(MOT)개척센터 건축, 자립하는 교회 모델 구축
3) 2016년: 직업훈련 결과 자립하는 교회, 다섯 개척교회의 발전, 인레선교센터의 자립
4) 2017년: 김문수 선교사 파송, 디베랴의아침교회 준공식, 미얀마기독교신학교의 위축
5) 미얀마 선교 발전기의 특징과 과제
6. 미얀마 선교의 심화기(2018~2023): 양곤과 인레 두 지역으로 선교 확대 및 입체적 연계
1) 2018년: 곽현섭 선교사가 양곤BIM센터를 김문수 선교사에게 이양, 곽현섭 선교사가 인레 선교지로 이동, 인레수상센터와 디베랴의아침선교센터가 세 개 공부방 운영
2) 2019년: 미얀마기독교신학교 사역 중단, 양곤BIM센터의 안정과 인레 선교지의 발전
3) 2020년: 인레 지역 선교 협력과 따웅지 선교 개척, 코로나로 인한 사역 중단
4) 2021년: 김문수 선교사의 코로나 치료, 디베랴의아침선교센터의 사역(방과후학교와 청년직업학교)과 코로나 긴급구호
5) 2022년: 샨주 3곳 개척 사역, 피난민 돌봄, 양곤 방과후학교 확대, 코로나 긴급구호, 강범수 선교사 파송
6) 2023년: 예수마을, 인레센터의 개척 사역, 따웅지센터의 청년 사역, 양곤에 공부방 확대, 아웅반 사직제일교회당 헌당
7) 미얀마 선교 심화기의 특징과 과제
7. 미얀마 기독교 이해
1) 버마에 기독교의 전파
2) 버마에 전파된 로마가톨릭, 개신교, 오순절교회
3) 계속되는 군정하에서 기독교
4) 미얀마 기독교의 선교 프로젝트
5) 미얀마 침례교회의 현황
6) 미얀마 기독교의 도전과 전망
8. 미얀마 신학과 신학교
1) 서구 선교사 철수 이후 미얀마 기독교의 성장과 토착 기독교로의 발전
2) 주류 버마족과 다수 종교인 불교의 흐름 속에서의 기독교 신학의 과제
3) 미조 기독교 신학
4) 신학교 현황
9. 부산국제선교회 미얀마 선교의 특징
10. 미얀마 선교의 교훈
11. 미얀마 선교의 과제

6장 ╻협력 선교사를 통한 선교

1. 1980년대
1) 볼리비아 박종무 선교사
2) 페루 황윤일 선교사
3) 서독 이향모 선교사
4) 네팔, 스위스, 일본, 멕시코, 파라과이, 프랑스
2. 1990년대
1) 1990년
2) 1991년
3) 1992년
4) 1993년
5) 1994년
6) 1996년
7) 1999년
3. 2000년대
1) 2006년
2) 2015년
3) 2019년
4) 2020년
5) 2021년
6) 2022년
7) 2023년
4. 부산국제선교회의 협력 선교사를 통한 선교의 특징과 과제
1) 협력 선교사를 통한 선교의 특징
2) 협력 선교사를 통한 선교의 과제


제4부 ╻부산국제선교회의 선교적 전망

1. 한국 기독교의 세계 선교에 대한 성찰
1) 복음주의 선교신학자들의 비판
2) 에큐메니칼 선교신학자들의 비판
3) 한국 기독교의 세계 선교 정책에 대한 성찰
4) 한국 초대교회의 유산과 한국교회 세계 선교 역사의 유산
2. 서구 기독교 선교의 교훈
1) 서구 식민주의와 결탁한 서구 선교의 부메랑
2) 서구 개신교 선교와 기독교 세계(Christendom)의 쇠퇴
3) 서구 기독교와 기독교 세계
4) 서유럽에서 기독교 세계의 쇠퇴 4단계
(1) 1단계: 국가가 다양한 형태의 기독교를 용납
(2) 2단계: 반기독교적 사상을 공적으로 표명하는 시기
(3) 3단계: 교회와 국가의 분리
(4) 4단계: 교회와 사회의 연결이 느슨해짐
5) 서유럽에서 기독교 세계의 쇠퇴를 설명하는 이론들
6) 서유럽에서 기독교 세계 쇠퇴에 대한 선교학적 성찰
3. 21세기 기독교 선교의 전망
1) 기독교 선교 역사를 통해 본 21세기 기독교 선교 전망
2) 하나님의 선교에 헌신하고자 할 때 주목할 다섯 가지 주제
3) 21세기 기독교 선교를 위한 모델들
4) 21세기 세계 선교 전망
(1) 21세기 선교 지형의 변화
(2) 21세기 세계 선교 전망
4. 한국 기독교의 21세기 세계 선교의 과제
5. 부산국제선교회의 선교적 전망
1) 복음주의적 에큐메니칼 선교신학
(1) 우리의 선교신학(예장총회, 1996)
(2) 복음주의 선교신학
(3) WCC의 선교신학
2) 선교적 교회: 후원 교회와 선교지 교회의 교회론
3) 아시아 선교와 아시아 선교신학 수립을 향하여 - 선교 방향
4) 에큐메니칼 협력 선교 - 선교 정책
5) 선교와 돈 - 선교 재정과 후원
6) 선교와 디아코니아
7) 선교사 토털 케어 - 선교 행정
8) 선교 평가


부록

1. 부산국제선교회의 역사 사료(1차 자료)
1) 부산국제선교회의 밤 선교보고서, 총회 보고서, 월례회 회보 자료
2) 선교사 통신과 선교 보고
(1) 인도네시아
(2) 오스트리아 선교사
(3) 일본 김병호 선교사
(4) 중국
(5) 미얀마
3) 인터뷰
4) 도서
2. 부산국제선교회 연혁
3. 부산국제선교회 역대 임원 명단(창립부터 2023년)
4. 2024 부산국제선교회 조직
5. CMS 회원 명단 (2023년 11월 28일 현재)
6. 후원 교회 및 기관 (2023년 11월 28일 현재)
7. 재정
数量
 
この著者・アーティスト(釜山国際宣教会40年史 編纂委員会)には他にもこんな作品があります。

釜山国際宣教会40年史
¥14,520(税込)
この出版社・レーベル(동연 トンヨン)には他にもこんな作品があります。

時間から空間へ
¥3,630(税込)

釜山国際宣教会40年史
¥14,520(税込)


特定商取引法に基づく表記  会社概要  採用情報
Copyright 1962-2006 Koma Book Trading Co.LTD,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