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最大規模の韓国書籍専門店が提供する通販サイトです。このサイトに掲載されていない書籍の問合わせも受け付けております。皆様からのご意見・ご感想もお待ちしております。
お問合わせ・ご注文 komabook@komabook.co.jp
Tel:03-3262-6800・6801 Fax:03-3262-6878
カートを見る ヘルプ サイトマップ
書籍 新聞・雑誌 年鑑・統計書類 CD DVD・VIDEO ラジオ 韓国語講座 店舗案内 お役立ち情報 ご意見・ご感想
HOME > 書籍 > 政治/社会/軍事 > 商品詳細
カテゴリごとの検索結果
書籍
雑誌・新聞
年鑑・統計資料
該当する情報はありません。
CD
該当する情報はありません。
DVD・VIDEO
タイトル 韓流を理解する33のコード 防弾少年団(BTS)『寄生虫』そして『イカゲーム』を越えて
한류를 이해하는 33가지 코드 방탄소년단(BTS), ‘기생충’ 그리고 ‘오징어 게임’을 넘어서(ハンリュルルイヘハヌンソルンセカジコードバンタンソニョンダン キセンチュンクリゴオジンオゲームルルノモソ)
サブタイトル
価格 ¥10,890(税込)
ISBN 9788978895323
頁数 512
巻数 1
B5
発行日 2023-06-02
出版社 知性社 (チソンサ)
著者 박숙희(パクスクヒ)

価格特記事項
紹介文(目次) K-POP、K-映画、K-ドラマ、K-ゴルフ、K-クラシック、K-バレエ、K-フード、K-ゲーム、K-ビューティー、K-ファッション、K-サウナ、K-防疫...韓流、そのハリケーンを目撃して韓国人はどうやって世界文化を制覇しただろうか?なぜ韓国人はそのように芸術魂があるのだろうか?この韓流の力はどこから来たのか?韓国人と韓国文化を理解するコードは何だろうか? この質問は結局韓国人は誰かを振り返ることになる。本書は韓民族固有の恨と飮酒歌舞を始めとして『早く早く、勘、風刺と滑稽、抵抗精神、ハングル、白衣民族、伝統遊び、キムチとコチュジャン、ビビンバ、スェチョカラック、風呂敷、ポジャギ、ボッサム、そして柳寛順、海女とパクセリに代表される強靭な女性...等々、33種コードで今世界を揺るがしている韓流のルーツを探索する感動する読み物を提供する。

(目次)
여는 글

1부 한국인에 대해 알아야 할 몇 가지
#1 비빔밥 정신
비빔밥 정신/ 비빔밥: 개방성, 융통성, 균형과 화합/ 할리우드 장르의 규칙을 깬 봉준호/ 한식의 해체: 구절판, 신선로, 부대찌개, 쌈, 삼합⋯/ 무엇이든 통하는’ 한국 문화

#2 빨리빨리 문화
코로나19, ‘K-방역’의 부상/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 ‘빨리빨리’ 민족으로/ ‘잘 살아보세’와 새마을운동/ 8282 공화국/ 한국의 속담과 줄임말: 효율성과 유머/ ‘브라질 출신 한인 세 자매 성공의 비결: 빨리빨리!/ 빨리빨리 정신: 힘인가, 독인가?

#3 눈치의 달인들
한인 2세 유니 홍과 눈치의 힘/ 눈치의 달인이 되는 비결, 처세술 책 홍수/ 눈치 안테나: 성공과 행복의 열쇠/ 오스카상 시상식: 봉준호 감독의 눈치와 재치

#4 저항의 민족
3·1운동에서 촛불혁명까지/ 2016~2017년 촛불혁명/ 저항의 역사/ 3·1독립만세 운동/ 엘리자베스 키스가 본 일제강점기 조선인/ 간디, 네루, 저우언라이와 3·1운동/ 5·18광주민주화운동/ 6월 민주항쟁/ 2008년 광우병 촛불시위/ 저항의 문화/ 〈뉴욕타임스〉 2018년 3월, 유관순 사망 기사 보도/ 블랙리스트 감독: 봉준호(「기생충」)와 황동혁(「오징어 게임」)/ 미씨USA 회원들 NYT 에 세월호 참사, 박근혜 정권 비판 광고

#5 한(恨)과 한국 영화 르네상스
트라우마의 나라, 드라마의 문화/ 한국산 웹툰 영화-드라마로, 세계로/ 한국 영화 1: 7080 암흑기/ 한국 영화 2: 뉴웨이브/ 한국 영화 3: 르네상스/ 한국 영화 4: 「기생충」과 그 이후

#6 쇠젓가락 유전자
“한국 여자 양궁 성공 비결은 김치와 젓가락” _로이터 통신/ 쇠젓가락 유전자: 국제기능올림픽/ 반도체, IT(정보통신), 성형수술, 클래식 강국/ 한중일 3국의 젓가락과 테크닉/ 이어령 교수의 ‘젓가락 예찬’/ 미국 한인 이민자 주력 업종: 병아리 감별사, 네일 살롱

#7 세탁의 장인들
한인 이민자, 미국 세탁업계를 장악하다/ 빨래는 백의민족의 장기/ 2020 세계 최고의 세탁기: LG와 삼성/ 백의민족의 세탁 기술/ 다듬이질 문화/ 빨래와 한국 문화: 회화, 무용, 뮤지컬, 영화, 시/ 한인 이민자들의 꿈: 자녀들의 성공을 위하여

#8 복(福)을 싸드립니다: 보자기, 보따리와 보쌈
보자기에 관한 이야기/ ‘보자기 작가’ 이정희/ ‘보따리 작가’ 김수자/ 뉴욕의 ‘보쌈’ 셰프 데이비드 장/ 보자기, 보따리, 보쌈: ‘복(福)’을 기원하는 한민족


2부 조선, 코레아, 코리아

#9 고요한 아침의 나라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의 조선 사람들/ 길쌈, 짚신 기술에서 자동차, 반도체, 스마트폰까지

#10 호머 헐버트와 세계인의 한글 예찬
세계적 작가와 언어학자들의 한글 예찬/ 호머 헐버트의 ‘코리안 오디세이’/ 한글이 세계 최고의 글자인 이유/ 디지털 시대 한글의 힘/ 세계인의 한글 배우기 열풍/ 세계문자올림픽대회와 한글박물관

#11 「오징어 게임」과 ‘놀이의 왕국’
‘게임 한류’, 한류 콘텐츠 수출 1위/ 스튜어트 컬린의 『한국의 놀이』/ 요한 하위징아의 『호모 루덴스』/ 1년 24절기 한국의 세시풍속/ 현대의 한국 풍속놀이/ E스포츠 게임의 슈퍼스타 ‘페이커’ 이상혁/ 놀이 정신과 K-문화

#12 모자의 왕국
킹덤 오브 햇/ 개화기 서양인들의 조선 모자 예찬/ 일제강점기 서양화가들이 포착한 조선인과 모자/ 쇼킹 단발령과 상투의 실종/ 왜 미국 남자들은 모자를 벗었나?/ 나폴레옹 황제 모자를 240만 달러에 구매한 하림기업/ 뉴욕의 스타 모자 디자이너 유지니아 김/ 캐롤리나 헤레라: “갓과 한복은 내 영감”/ 브루클린 미술관 소장 조선 ‘용봉문 두정투구’/ 뉴욕 전시 「조선: 모자의 나라」


3부 음주가무(飮酒歌舞)를 즐기는 민족

#13 먹고
한국계 뮤지션 미셸 자우너, 「H마트에서 울다」/ 「대장금」 신드롬/ 「식객」: 만화에서 영화에서 드라마로/ 비언어 뮤지컬 「난타」/ 영화 「기생충」 속의 음식 코드/ 〈워싱턴포스트〉, 한식의 철학 찬사

#14 마시고
술에 관한 수많은 말, 말, 말/ 「맥주가 애인보다 좋은 일곱 가지 이유」/ 홍상수 영화: 술과 말과 로맨스/ 봉준호 감독의 오스카 수상 소감/ 세계로 간 소주와 막걸리/ 뉴욕 고급 레스토랑 정식, 아토보이의 소주, 막걸리 메뉴

#15 노래하고
한국의 오페라: 판소리/ 일제강점기 동요와 항일 노래/ TV 노래 경연 프로그램/ 전 국민의 가수화, 시위에선 ‘떼창’/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의 코리안/ 뮤지컬의 한인들/ 뮤지컬 「케이팝(KPOP)」 브로드웨이로

#16 춤추고
아름다운 우리 춤/ K-발레: 세계 발레단의 K-무용수/ 코리아: 브레이크댄스 강국/ K팝의 매력: 춤, 춤, 춤/ 무용가 김영순과 덤보댄스 페스티벌/ 쿠니 마사미(박영인): 일제강점기 무용수이자 스파이


4부 한국인의 힘

#17 ‘미국 태권도의 아버지’ 이준구 대사범
미국 태권도의 아버지/ 엘비스 프레슬리, 클린턴, 오바마 태권도 수련/ 최초의 한류 스타, 이준구 대사범의 드라마틱한 삶/ 브루스 리(이소룡)와의 우정/ 무하마드 알리의 코치/ 9월 4일은 세계태권도의 날

#18 김치와 고추장: 발효, 그 느림의 맛
미국 슈퍼마켓마다 김치 진열, 김치 조리법 인기/ “오래 살고 싶다면? 한국으로 가라!”/ 김치와 고추장/ 김치 사업에 투신한 한인 2세들/ 코리안아메리칸 셰프가 뜬 이유/ 쌈장 전도사들/ 중국 ‘김치 종주국’ 주장, 뉴욕 ‘김치의 날’ 제정

#19 한국 여성 속의 여신들
자가 격리의 원조, 웅녀의 끈기/ ‘여왕의 시대’ 신라: 선덕, 진덕, 진성/ 3천 궁녀, 논개와 유관순의 절개/ 현모양처 신사임당, 백인당의 교육열/ ‘아시아의 아마조네스’ 제주 해녀들/ 미국 역사 속 위대한 여성들

#20 도서 한류(K-Book)와 한국 여성 인권
『82년생 김지영』 세계 열풍/ 환자와 화자: 김지영과 정신과 의사/ 코리아: 경제 선진국, 여성 인권 후진국/ 여성가족부와 인권 문제/ 뿌리 깊은 성차별: 여성 비하 속담 15/ 미국과 한국 여성 참정권/ 여성 작가들의 힘: 한강-수잔 최-최돈미-캐시 박 홍-이민진

#21 그린의 여왕들, 골프의 여신들
한국 여자 골프가 세계 최강이 된 일곱 가지 이유

#22 풍자와 해학의 정신: 「강남 스타일」, 「기생충」과 마거릿 조
싸이와 「강남 스타일」의 풍자와 해학/ 봉준호와 「기생충」의 블랙 유머/ 마거릿 조: 미국 스탠드업 코미디의 여왕/ 마거릿 조의 후예들


5부 한국인의 유전자

#23 조선 르네상스와 이탈리아 르네상스
『킹 세종 더 그레이트』/ 세종대왕과 레오나르도 다 빈치: 발명의 천재들/ 음악가로서 세종과 레오나르도/ 세종대왕과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최후/ 조선 르네상스와 이탈리아 르네상스

#24 ‘비디오 아트의 대부’ 백남준과 후예들
백남준의 후예 8인방

#25 정경화에서 임윤찬까지, 클래식 강국 코리아
한국 클래식의 수수께끼/ 국제 차이콥스키 콩쿠르/ 레벤트리트 국제 콩쿠르/ 메리웨더 포스트 콩쿠르/ 제네바 국제 음악 콩쿠르/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로스트로포비치 국제 첼로 콩쿠르/ 국제 쇼팽 피아노 콩쿠르/ 리즈 국제 피아노 콩쿠르/ 부소니 국제 피아노 콩쿠르/ 밴 클라이번 국제 피아노 콩쿠르/ 클리블랜드 국제 피아노 콩쿠르/ 윌리엄 카펠 국제 피아노 콩쿠르/ 파가니니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콩쿠르가 필요 없었던 바이올린 신동 사라 장/ 뉴욕필,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의 한인 연주자들/ 작곡가 진은숙 & 지휘자 김은선/ 그래미상과 한국인

#26 ‘우리 시대의 비틀스’ 방탄소년단(BTS)
비틀스와 BTS 방탄소년단/ 비틀스 vs. 방탄소년단/ 희망의 시대에서 온 BTS/ BTS 솔로 프로젝트

#27 피는 물보다 진하다
성악가 앤드루 갱게스타드(정우근)/ 발레리나 제니퍼 월렌(남지연)/ 비올리스트 리처드 용재 오닐/ 화가 사라 세진 장(장세진)/ 영화감독 디안 보셰 림(강옥진)/ 셰프 대니 보윈/ 〈뉴욕타임스〉 “입양인들, 한식 요리는 궁극적인 한인성의 회복”/ 한국은 여전히 고아 수출국


6부 K-컬처 르네상스

#28 K-푸드: 한식 황홀경
앤디 워홀과 먹방/ 앤서니 보데인과 최불암/ 올인원, 한국인의 밥상/ 절기 음식과 향토 음식/ 뉴욕 K-푸드의 선구자: 한가위/ 세계로 간 한국 사찰음식과 정관 스님/ 코리안 프라이드치킨 열풍/ 조선시대 조리서와 ‘며느리에게 주는 요리책’/ 맛에 관한 한국어 400여 가지/ 미슐랭 스카이의 별을 따고 있는 한식당들

#29 K-아트: 단색화 르네상스
고려청자의 나라에서 단색화의 한국으로/ K-아트, 미국에 이는 단색화 열풍/ 단색화: 기원에서 재발견까지/ 1970년대: 왜 단색화였나?/ 오방색, 백의민족과 단색화/ 컬러-자유의 팔레트/ 한국 미술사와 단색화 연구서 봇물/ 단색화 미술 장르 공인/ 미국 주류 미술관 K-아트 특별전 열풍/ K-아트: 서울, ‘세계 미술 메카’로 부상 중

#30 백의민족에서 글로벌 패셔니스타로
한류 스타들, 럭셔리 브랜드 홍보대사에 임명/ FACON/ KCON: K-드라마, K-팝과 K-패션의 시너지 효과/ K-패션: 뉴욕-런던-밀라노-파리로 가다/ 동대문: 변방에서 ‘패션의 메카’로/ 패스트 패션: 포에버 21의 신화/ 왜 K-패션인가? 유행 민감, 세련미, 개성미/ 토니상 2회, 에미상 1회 수상 의상디자이너 윌라 김/ ‘코리안 기모노’에서 ‘한푸(漢服)’까지

#31 K-뷰티: 한국은 어떻게 화장품 최강국이 되었나?
화장품 수출 세계 3위: K-뷰티/ 글로벌 화장품 기업 K-뷰티 인수 행렬/ 한인 2세와 외국인들, 한국산 브랜드 사업 열풍/ 조선 여성 물광 피부, K-뷰티의 원조/ 한국 미인과 프랑스 미인/ 한국산 화장품 열풍의 이유/ K-뷰티 돌풍의 주역 사총사 히트 메이커/ 한국인은 새 프랑스인

#32 K-사우나: 찜질방, ‘스파의 디즈니랜드’
핀란드 사우나에서 한국 찜질방까지/ 한국의 목욕 문화/ 미국 유명인사들 찜질방에 매료되다/ 미국 언론 찜질방 대서특필

#33 K-방역: 「기생충」, 「킹덤」과 코로나 팬데믹
우리는 봉준호의 디스토피아에 살고 있다 _〈뉴욕타임스〉/ 「킹덤」은 오늘 코로나 팬데믹의 악몽 같다 _〈뉴욕매거진〉/ 「킹덤」은 전염병에 반응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세계 언론 K-방역 성공 찬사: 개방성, 투명성, 신속한 대응/ 한국인의 취미는 국난 극복/ 2020 ‘타임 100’ 봉준호와 정은경 선정

# 에필로그: 멋진 신세계, 한류 신드롬은 계속된다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 천국보다 낯선⋯/ 멋진 신세계/ 소셜미디어 시대의 한류/ “다 계획이 있었구나” 1990 문화발전 10개년 계획/ 백범 김구의 소원과 마틴 루터 킹의 꿈

참고한 자료
数量
 
この著者・アーティスト(박숙희)には他にもこんな作品があります。

韓流を理解する33のコード 防弾少年団(BTS)『寄生虫』そして『イカゲーム』を越えて
¥10,890(税込)
この出版社・レーベル(知性社 チソンサ)には他にもこんな作品があります。

韓流を理解する33のコード 防弾少年団(BTS)『寄生虫』そして『イカゲーム』を越えて
¥10,890(税込)

汽車が来る 蒸気機関車からKTXまで韓国鉄道120年
¥7,260(税込)


特定商取引法に基づく表記  会社概要  採用情報
Copyright 1962-2006 Koma Book Trading Co.LTD,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