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最大規模の韓国書籍専門店が提供する通販サイトです。このサイトに掲載されていない書籍の問合わせも受け付けております。皆様からのご意見・ご感想もお待ちしております。
お問合わせ・ご注文 komabook@komabook.co.jp
Tel:03-3262-6800・6801 Fax:03-3262-6878
カートを見る ヘルプ サイトマップ
書籍 新聞・雑誌 年鑑・統計書類 CD DVD・VIDEO ラジオ 韓国語講座 店舗案内 お役立ち情報 ご意見・ご感想
HOME > 書籍 > 歴史/地理/人文 > 商品詳細
カテゴリごとの検索結果
書籍
雑誌・新聞
年鑑・統計資料
該当する情報はありません。
CD
該当する情報はありません。
DVD・VIDEO
タイトル ソウル都市鉄道120年 ソウル路面電車、京仁線、ソウル地下鉄50年、軽電鉄20年のストーリーテリング 改定増補版
서울 도시철도 120년 서울노면전차 경인선 서울지하철 50년 경전철 20년의 스토리텔링 개정증보판(ソウルトシチョルトペギシムニョン )
サブタイトル
価格 ¥7,986(税込)
ISBN 9791198244406
頁数 338
巻数 1
A4
発行日 2023-03-15
出版社 MATE (メイト)
著者 최항길(チェハンギル)

価格特記事項
紹介文(目次) ソウルの路面電車から京仁線、地下鉄、軽電鉄などの120年の韓国都市鉄道史を収録。1804年2月13日の世界初の鉄道、1863年1月10日の世界初の地下鉄、それに加えて、世界主要都市及びソウル首都圏都市鉄道の正確な諸元などの基本常識14点と、1899年5月20日のソウル路面電車、1899年9月19日の京仁線、1974年8月15日の韓国初の地下鉄1号線開通をはじめに地下鉄2,3,4,5,6,7,8,9号線及び軽電鉄誕生の歴史的、時代的背景を正確な根拠と発生日を基準に説明する。ソウル市は様々な困難を経て総延長384.26㎞(停留所348箇所、2023.12.30。基準)を無難に終え、今は先進都市と肩を並べる。

(目次)
1장 서울도시철도 기본상식 이해(14가지 이야기)
제1절 서울시의 노면전차, 철도, 지하철의 명칭이 ‘도시철도’가 된 시대적 배경
제2절 고속철도, 광역철도, 일반철도, 도시철도의 의미를 정확히 알아봅시다.
제3절 1804년 2월 13일, 세계최초의 철도(증기기관차)가 사람과 화물을 싣고 달리다.
●세계적으로 최초의 증기기관차의 개발은 1804년에 ‘리처드 트래비딕’이 개발하다.
●1825년 9월 27일 본격적인 증기기관차 ‘Lokomotion(로코모션)호’가 달리다.
●1830년 9월 15일 『맨체스터』와 『리버풀』 간 철도가 개통되다.
●1830년 마국대통령인 ‘토마스 제퍼슨’은 철도를 표현하기를...
제4절 1863년 1월 10일 런던에서 세계최초의 지하철이 운행되다.
●런던 지하철(London Underground)은 세계최초의 지하철이다.
●지하철을 처음 제안한 사람은 변호사 Charles Pearson(찰스 피어슨)이었다.
●1863년 1월 9일에 성대한 개통식이 거행되다
●우여곡절이 많았으나 개통 후 놀라은 성공을 거두었다.
●런던지하철은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시민들을 위한 대피호로 이용되기도 했다. 30
제5절 세계 주요도시의 지하철노선 현황(2022.01 현재)
※ 세계주요도시의 지하철도망(2020년, 일본지하철협회)
●서울·인천 지하철도망
●런던 지하철도망
●파리 지하철도망
●뉴욕 지하철도망
●동경 지하철도망 37
제6절 2020년 이후, 현재 서울지하철의 위상
●서울도시철도(지하철, 경전철) 개통현황
●서울지하철 단계별 개통현황
●수도권전철 개통현황
●서울지하철 환승거리 현황
●서울지하철 노선별 정거장심도
제7절 지하철 노선 중에 지상구간이 있어도 지하철이다.
제8절 외국에서의 ‘지하철’ 호칭과 올바른 정의
제9절 지하철에도 종류가 있다.
제10절 경전철도 지하철 구분 종류 중의 하나이다.
제11절 서울지하철의 건설 및 운영의 주체기관은 어디인가요?
제12절 1970년 이전·이후, 1980년 이후의 설계시방서, 지하철 설계기술의 변천
●1970년 이전의 설계시방서
●1970년대의 설계시방서
●1980년 이후의 설계시방서
●지하철 설계기술의 변천
제13절 서울지하철 Tunnel 시공 기술의 발전
제14절 1802년 프랑스의 Charles Berigny가 최초로 주입공법을 사용하다.
●주입공법의 발명은 프랑스의 Charles Berigny에 의하여 개발되다.
●세계최초의 용액형 주입재 시도는 1886년 독일의 Jeziorsky였다.
●한국에서는 1953년 옥포저수지에서 처음 주입공법을 사용하다.
참고문헌

2장 1899년 5월 20일, 서울시 최초의 도시철도인 노면전차가 운행되다.
요약
●고종과 친분이 있던 미국인 ‘알렌’으로부터의 편지
●1898년 2월 19일 한성전기회사(주)가 설립된 것이 전차사업의 시작이다.
●1898년 9월 15일 전차선로부설 착공식(電車線路敷設着工式)이 개최되다.
●1899년 5월 20일 역사적인 서울전차의 개통식이 열리다.
●서울전차 개통 10일 후에 인명사고가 발생하여 5개월간 운행중지하다.
●평민도 양반도 여성도 누구나 탈 수 있는 노면전차가 인기를 얻다.
●한성전기회사는 자금난으로 1904년 한미전기회사로, 1909년에는 일본회사로 소유권이 넘어가다.
●1915년에는 상호가 일한가스주식회사에서 경성전기주식회사로 바뀌다.
●1945년 해방 이후와, 비극적인 한국전쟁 발발로 큰 피해를 입다.
●서울시내에서 노면전차 교통수단은 서서히 한계에 다다르다.
●이제는 서울시내에서 “눈에 거슬리는 것은 꾸물대기만하는 전차다.”라고 평가되다.
●1961년에 경성전기 등 3사가 합병하여, 한국전력으로 상호를 변경하다.
●1966년 6월 1일부로 전차 사업이 한국전력에서 서울시로 이관되었다.
●1968년 11월 30일 자정 이후에는 더 이상 전차가 달리지 않게 되었다. 전차여, 안녕
●노면전차 차량 소개
●서울과 교외지역을 연결하는 철도교통 : 궤도차(軌道車)가 운행되다.
참고문헌

3장 1899년 9월 19일, 서울시 최초의 철도, 경인선이 개통되다.
●많은 철도역사전문가들이 1895년 2월 전쟁을 위한 ‘진평선’을 부설하였다고 주장하지만?
●2019년 12월 4일 ‘철도역사 이야기 제22화’에서는 진평선 이야기를 전면 부정하다.
●경인철도가 1897년 3월 22일 인천 우각리 쇠뿔고개에서 기공식이 열리다.
●경인철도 기공식에 한국인들은 왜 상복(喪服)을 입고 있는지 이제야 사실이 밝혀지다. 99 ● 1899년 9월 19일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이 건설되어 개통·운행되다.
●경부선 외 다른 노선의 건설도 속속 진행되었다.
참고문헌
4장 국내 최초 서울지하철 1호선 건설추진의 시대적배경
●1929년에 지하철 노선부설권이 부여되었으나...
● 1939년 12월 28일에 ‘성동역에서 동대문’까지 지하철부설 허가가 있었다.
●1961년 우리나라 철도청 기획과가 서울지하철 노선을 도면상으로 기획하다.
●1964년 4월 14일 서울시장은 처음으로 ‘서울시 지하철건설’을 공언하다.
●1965년 2월 3일 ‘서울시정 10개년 계획’과 ‘고속전차 시설계획서(1965)’를 작성하다.
●1966년 9월 ‘고속지하철건설사업 차관신청서’를 작성하다.
●1968년 5월 7일 서울시는 ‘도심순환전철 노선계획을’을 수립하다.
●1969년 12월 30일 서울시는 숙원사업 7개 중 지하철건설을 최우선으로 결정하다.
●1970년 5월 중순 경 서울시장은 대통령에게 ‘서울지하철건설계획’을 직접 보고하다.
●경제부총리는 대통령에게 “서울에 지하철을 건설하면 나라가 망합니다.”라고 반대하다.
●1970년 5월 말 대통령은 “서울시의 대중교통수단건설계획을 수립하라.”라고 지시하다.
●1970년 6월 9일 지하철건설 전담기구인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가 설치되다.
●서울시가 지하철노선계획 1개 방사선의 5개노선(一放射狀 5個路線) 건설계획을 수립하다.
●1970년 10월 22일 한국정부 차원에서 ‘수도권의 도시철도 건설계획’을 발표하지만...
●지하철 1호선의 전기방식(電氣方式)은 직류 1,500V를 채용하기로 결정하다.
●1971년 4월 12일 드디어 시민의 발, 국내 최초의 지하철 1호선 착공식이 화려하게 열리다.
●지하철 제1호선의 설계내용과 공사추진의 어려움을 스스로 극복하다.
●서울시는 1호선 착공 직후, 1971년 5월 4일에 지하철 5개노선 건설계획을 수립하다.
●1971년 9월에 서울지하철건설 및 수도권 전철화사업 실시계획서가 정부에 제출되다.
●지하철 1호선의 건설로 국내 지하철건설기술 토착화를 이루어내다.(8가지)
●지하철 System 전기방식 및 직·교류 직통 운전시행을 결정하다.
●시청역~종각역 사이의 노선계획은 당초 동아일보 사옥을 통과하는 계획이었다.
● 지하철 1호선과 수도권전철의 운행시설을 결정하다. 134
● 국내기술진으로 추진한 지하철 1호선 건설분야 사업 135
● 1972년 4월 지하철 차량 구입을 위한 차관공여 결정이 확정되다. 136
● 1972년 12월 31일 서울시장이 ‘서울지하철건설계획(제1호선∼5호선)’을 발표하다.
●지하철 차량의 설계와 투입을 시작하다.
●비극적인 육영수 여사 저격사건과 겹친 1호선(종로선)과 수도권전철이 동시에 개통되다.
●지하철 1호선 개통시의 열차운행계획을 설정하다.
●서울시 초기 지하철 경영을 위한 조직이 있었다.
참고문헌

5장 서울지하철 2호선 건설의 시대적배경
●지하철 1호선의 개통 후에도 서울의 교통상황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았는데...
●그 당시, 당초 서울시가 구상하였던 노선은 5개 노선이었다.
●1974년 말까지의 지하철 2호선 계획노선은 지금의 순환선이 아니었다.
●김교수는 구자춘시장에게, “시장님, 서울시 도시계획에는 철학이 없습니다.” 라고...
●1975년 3월 5일, 서울시장은 대통령 연두순시 때에 지하철 2호선의 변경계획을 보고하다.
●서울시 3핵(核) 도시구상으로 2호선을 방사선에서 순환선으로 변경하다.
●지하철 2호선(순환선)의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다.
●1975년 7월 9일 서울지하철 2호선(순환선) 계획을 확정하다.
●지하철 2호선 예산확보의 어려움에 서울시는 자체적으로 착공을 결정하다.
●드디어 지하철 2호선 1단계(강남), 2단계(강북) 구간을 착공하다.
●지하철 2호선의 시스템분야 사양(任樣)과 차량설계 기준을 정하다.
●지하철 2호선, 단계적으로 개통하다.
●지하철 1호선의 경험을 기초로 자신감이 있는 지하철 2호선 건설 기술을 축척하다.
●지하철 2호선 사업을 마무리하며...
●준공된 당산철교는 구조적 결함 때문에 고심 끝에 재시공하였다.
※서울지하철 2호선 개통현황(최초 착공일, 구간, 역수, 연장, 개통일)
참고문헌

6장 서울지하철 3,4호선 건설추진의 시대적 배경 175
●서울지하철 3,4호선은 지하철 2호선 계획수립부터 예정된 노선이었다.
●서울시는 지하철 1,2호선 건설로 인한 재정적 압박에 민자유치건설로 활로를 찿지만...
●(㈜대우실업에서 서울지하철 3,4,5호선을 단독으로 건설의지를 표명하였으나...
●서울시는 1979년 8월 21일, 대우실업을 포함한 다수건설업체 공동참여로 유도하다.
●지하철 3,4호선 노선결정의 배경
●서울지하철 3,4호선의 최종 노선계획을 확정하다.
●‘서울지하철건설주식회사’ 설립, 1980년 2월 29일 3,4호선의 기공식을 거행하다.
●당시, 민자로 시작한 3,4호선 추진에 많은 어려움과 문제점이 발생하다.
●정부와 서울시는 서울지하철주식회사를 공사화(公社化)하기로 결정하다.
●외국의 터널공법인 NATM공법의 도입으로 터널건설기술이 진전되다.
●지하철 건설기술의 완전 국산화에 가까워지다.
●지하철 3,4호선 건설여건 및 기술특성의 전문화가 이루어지다.(5가지)
●지하철 3,4호선 건설공사의 이모저모
●차량기지의 건설과 연락노선
●서울지하철건설과 관련된 서울시 기구(機構)를 일원화하다.
●서울지하철 3,4호선이 드디어 개통되다.
●지하철 3,4호선의 운영계획을 확정하다.
●지하철 3,4호선 시스템분야의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다.
●인포그래픽(안내) 디자인의 체계화를 강구하다.
●시민들의 요청으로 다수의 역명이 변경되다.
※서울지하철 3,4호선 개통현황(최초 착공일, 구간, 역 수, 연장, 개통일)
참고문헌
※지하철 3,4호선 완공 후의 서울지하철노선도(1987.05)
7장 제2기 지하철 건설의 시대적 배경 - 5,6,7,8호선 건설 및 3,4호선 연장
제1절 서울시는 제2기 지하철 건설을 위하여 철저한 준비를 하다.
●지하철 5,6,7,8호선 및 3,4호선 연장노선건설의 준비단계에 착수하다.
●서울시 제2기 지하철 노선망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를 시작하다.
●1987년 12월 12일 대통령후보자는 ‘서울지하철 및 전철망 확충공약’을 내놓다.
●1988년 8월 20일 서울시는 ‘서울지하철확정조사’용역을 발주하다.
●1989년 2월 20일에 서울시장은 ‘서울지하철에 대한 노선망계획’을 대통령에게 보고하다.
●고건(高建) 서울시장은 서울지하철 추가건설에 강한 의지를 보이다.
●1989년 5월 4일 ‘서울시 지하철건설기획단’을 발족, 이어서 지하철건설본부를 재설치하다.
●1989년 5월 26일 서울 시민들을 대상으로 ‘서울지하철추가건설계획(안)공청회’가 열리다.
제2절 서울지하철 5호선 건설의 시대적 배경
●제2기 지하철사업 중 지하철 5호선 건설을 우선적으로 추진하다.
●1989년 8월 23일 ‘서울지하철 5호선 기본설계용역’에 착수하다.
●1990년 6월 27일 제2기 지하철의 첫번째인 5호선이 착공되다.
●1996년 12월 30일 지하철 5호선 전 구간이 개통되다.
※서울지하철 5호선 개통현황
제3절 서울지하철 6호선 건설의 시대적 배경
●지하철 6호선, 1994년 2월 8일에 착공되다.
●2000년 8월 7일 지하철 6호선 전 구간(도심구간은 2001.03.09)이 개통되다.
●서울지하철 6호선을 2002년 FIFA 월드컵 개최전에 마무리하다.
●서울시 제2기 지하철 운영 주체를 결정하다.
※서울지하철 6호선 개통현황
제4절 서울지하철 7호선 건설의 시대적 배경
●1990년 12월 28일 하계지하차도 입구에서 서울지하철 7호선 강북구간 착공식이 개최되다.
●상봉동 노선 확정문제를 논의하다.
●1996년 10월 2일, 드디어 7호선 1차구간이 개통되다.
●7호선 침수사고의 교훈
※서울지하철 7호선 개통현황
제5절 서울지하철 7호선 연장건설(서울온수~부평시청~인천부평)의 시대적 배경
●지하철 7호선 연장 건설공사는 최초로 3개 지자체가 공동추진하는 도시철도사업이었다.
●2003년 3월 11일 지하철 7호선 연장건설 협약체결식이 개최되다.
●2005년 3월 4일, 서울~부천구간 착공식이 열리다.
●지하철 7호선 연장공사는 드디어 2012년 10월 27일에 완료되어 개통되다.
제6절 서울지하철 8호선 건설의 시대적 배경
●지하철 8호선 건설공사를 추진, 1990년 1월 16일 8호선의 노선계획을 확정하다.
●1990년 12월 29일, 지하철 8호선 잠실구간 착공식이 가락사거리에서 거행되다.
●지하철 8호선 건설추진에 만전을 기하다.
●1996년 11월 23일 드디어 지하철 8호선이 개통되다.
※서울지하철 8호선 개통현황
제7절 지하철 3,4호선 연장공사 건설의 시대적 배경
●1989년 12월 18일 지하철 3,4호선 연장공사 착공식에 대통령이 참석하다.
●3호선 연장구간 지축~구파발은 1990년 7월 13일 일부 개통되다.
●4호선 연장구간 당고개~상계구간은 1993년 4월 21일 일부 개통되다.
●제2기 지하철 건설로 인하여, 획기적인 기술발전이 이루어지다.(21가지 사항)
※서울지하철 3,4호선 개통현황
참고문헌

8장 서울시 제3기 지하철건설의 시대적 배경
※서울지하철 9호선 전구간 항측도(개화~중앙보훈병원)
●언론에서는 서울시 제3기 지하철계획을 ‘그림의 떡’이라 평가하였지만...
●제3기 지하철 타당성조사용역이 착수되었으나, 상위계획 미확정으로 유보되다.
●제3기 지하철에 대한 기본설계는 계속 시행하고, 실시설계는 노선별로 추진하기로 하다.
●1994년 3월 21일 제3기 지하철노선계획을 서울시 내부적으로 확정하다.
●정부의 경제상황에 서울시의 3기 지하철 계획도 영향을 받다.
●서울시는 9호선 건설의 단계별 건설계획안을 수립하다.
●서울시는 제3기 지하철 10,11호선이 정부안과 중복되어 추진을 중단 조치하다.
●제3기 지하철의 9호선과 3호선 연장구간을 집중투자하기로...
●지하철 9호선의 속도향상방안을 검토하다.
●한국정부는 1997년 12월 3일 IMF에 긴급융자를 신청하다.
●지하철 9호선의 급행열차와 완행열차를 혼합운행하는 계획을 수립하다.
●1999년 7월 지하철 9호선계획의 수정안을 발표하다.
●1999년 7월 14일, 건설부 도시교통심의회에서 민자유치에 대한 적극인 검토를 지시하다.
●지하철 9호선 1단계구간(개화~신논현)의 하부공사는 서울시가, 상부부분은 민자유치로 결정하다.
●드디어 2002년 4월 3일 지하철 9호선 1단계 구간 기공식을 개최하다.
●2006년 6월 23일까지 지하철 9호선 상부부분 민간투자사업의 복잡한 법적절차를 밟다.
●2009년 7월 24일 지하철 9호선 1단계(개화~신논현)구간 25.5㎞가 개통되다.
●지하철 9호선 2,3단계(신논현~중앙보훈병원) 건설을 추진하다.
●지하철 9호선 2,3단계 건설은 상·하부 전체 서울시 재정사업으로 하는 것을 결정하다.
●드디어 2010년 10월 25일, 지하철 9호선 3단계 기공식을 개최하다.
●2015년 3월 27일, 지하철 9호선 2단계(신논현~방이동 간 12.5㎞ 중 4.5㎞) 개통식을 갖다.
●2018년 11월 30일 ‘지하철 9호선 잔여구간 3단계(9.5㎞) 건설공사 개통식’을 개최하다.
※도시철도 9호선 제1,2,3단계 추진 기본계획 승인 현황
※서울지하철 9호선 개통현황

9장 서울시 경전철건설의 시대적배경

●1990년 말 서울 · 수도권의 인구는 1600만 명을 넘어서다.
●서울시장은 1991년 4월 4일, 대통령에게 현재 건설중인 제2기 지하철 완성 후, 120㎞ 내외의 추가 지하철 건설을 할 계획임을 보고하다.
●그러나, 언론에서는 이 계획은 ‘그림의 떡’이고, ‘달리는 빚더미’ 건설은 공상에 가깝다는 주장이었다.
●1994년 3월 21일 3기 지하철 노선계획을 서울시 내부적으로 일단 확정하고,
보조 노선은 본 3기 지하철 노선 결정 후 추가 검토하기로 하다.
●1998년 5월 기획예산처는 서울시의 3기 지하철 등의 사업 재검토를 권고하였지만, 9호선은 당초 계획대로 추진하다.
●서울시는 2000년 11월 10일, 서울 지하철 도망의 지선축 5개 노선을 선정하다.
●2001년4월 ‘서울도시철도 중장기 기본계획 수립’을 통하여 6개 경전철망 계획을 수립하여 시장에게 보고하다.
●2005년 9월 15일 시정개발연구원은 ‘서울시 지하철 노선 개편 방안’을 제안하다.
●2008년 11월 21일 경전철 7개 노선(62.16km)이 국토부의 승인을 받다.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 철도망 구축 계획 변경’ 용역을 바탕으로 2015년 6월 30일에 국토교통부에 10개 노선에 대하여 승인 요청을 하다.
●기존 민자사업 추진절차에서 재정지원 부문 보완하다.
●기존 민자사업 추진절차에서 요금 제도를 보완하다.
●우이~신설 경전철은 2003년 6월에 민자 제안서가 제출되어 14년 만인 2017년 9월 2일에 개통되었다.
●신림선 경전철은 2006년 3월에 민자사업제안서가 제출되어 16년 만인 2022년 5월 28일에 개통되었다. 323
참고문헌

그림, 표 목록
책을 마치며
저자소개
数量
 
この著者・アーティスト(최항길)には他にもこんな作品があります。

ソウル都市鉄道120年 ソウル路面電車、京仁線、ソウル地下鉄50年、軽電鉄20年のストーリーテリング 改定増補版
¥7,986(税込)
この出版社・レーベル(MATE メイト)には他にもこんな作品があります。

ソウル都市鉄道120年 ソウル路面電車、京仁線、ソウル地下鉄50年、軽電鉄20年のストーリーテリング 改定増補版
¥7,986(税込)


特定商取引法に基づく表記  会社概要  採用情報
Copyright 1962-2006 Koma Book Trading Co.LTD,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