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最大規模の韓国書籍専門店が提供する通販サイトです。このサイトに掲載されていない書籍の問合わせも受け付けております。皆様からのご意見・ご感想もお待ちしております。
お問合わせ・ご注文 komabook@komabook.co.jp
Tel:03-3262-6800・6801 Fax:03-3262-6878
カートを見る ヘルプ サイトマップ
書籍 新聞・雑誌 年鑑・統計書類 CD DVD・VIDEO ラジオ 韓国語講座 店舗案内 お役立ち情報 ご意見・ご感想
HOME > 書籍 > 歴史/地理/人文 > 商品詳細
カテゴリごとの検索結果
書籍
雑誌・新聞
年鑑・統計資料
該当する情報はありません。
CD
該当する情報はありません。
DVD・VIDEO
タイトル 日帝下島嶼地域の民族運動と社会運動 所安島・巌泰島・荷衣島などの事例
일제하 도서지역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소안도·암태도·하의도 등의 사례(イルチェハトソチヨゲミンジョクウンドングァサフェウンドン ソアンドアムテドハイドドゥンエサレ)
サブタイトル
価格 ¥10,890(税込)
ISBN 9788949968445
頁数 604
巻数 1
B5
発行日 2025-02-20
出版社 景仁文化社 (キョンインムンファサ)
著者 박찬승(パクチャンスン)

価格特記事項
紹介文(目次) 日帝下の全羅南道莞島郡、珍島郡、務安郡の島嶼域で起きた民族運動と社会運動をまとめた。本書では民族運動は主に抗日民族運動を指し、社会運動は労働・農民・青年・女性運動を指す。日帝下で民族運動と社会運動は明瞭に区別されない場合が多かった。莞島郡と珍島郡で起きた青年運動・農民運動は社会運動でありながらも抗日民族運動の性格を帯びる場合が多かった。務安郡の島嶼地域(現新安郡)では、1920年代の巌泰島をはじめ、智島・都草島・慈恩島・梅花島などで小作争議が激しく起き、また荷衣道では日本人の地主に奪われた土地を取り戻そうとする「土地回収闘争」が展開された。これら3つの郡の島嶼地域では陸地の他の軍よりもはるかに活発な民族運動と社会運動が起きた。その理由を調べて明らかにする。

(目次)
1부 일제하 완도군・진도군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제1장 일제하 소안도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1. 머리말
2. 소안도 민족운동・사회운동의 사회경제적 배경
1) 경제적 배경
2) 사회적 배경
3. 소안도 민족운동・사회운동의 전개과정
1) 비밀결사운동 : 수의위친계(守義爲親契)와 일심단(一心團)
2) 청년운동 : 배달청년회
3) 노농운동 : 노농대성회
4) 사상단체 : 살자회
5) 교육운동 - 소안학교
4. 소안도 민족운동・사회운동의 주체
5. 맺음말
제2장 일제하 완도(본섬)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1. 머리말
2. 완도 민족・사회운동의 사회문화적 배경
1) 정치경제적 배경
2) 문화적 배경 - 신교육을 중심으로
3. 완도 민족・사회운동의 전개과정
1) 3・1운동
2) 청년회운동
3) 노농운동
4) 신간회운동
4. 완도 민족・사회운동 관련 사건
1) 완도상회 사건
2) 완도면 대신리 신우회 사건
3) 전남운동협의회 사건
5. 맺음말
제3장 일제하 고금도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1. 머리말
2. 고금도 민족・사회운동의 사회경제적 배경
3. 1920년의 독립만세운동
4. 1930년의 용지포간척지투쟁
5. 1933~34년의 전남운동협의회 사건
6. 고금도 민족・사회운동의 주체
1) 독립만세운동 참가자
2) 전남운동협의회 참가자
7. 맺음말
제4장 일제하 조약도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1. 머리말
2. 조약도 민족・사회운동의 사회경제적 배경
1) 경제적 배경
2) 사회적 배경
3. 1920년대 후반 - 1930년대 전반 조약도의 민족・사회운동
4. 1930년대 중후반 ‘전남운동협의회재건위원회’운동
1) 운동의 주체
2) 조직과 운동방침
3) 활동
5. 1930년대 후반 관산리 노동야학운동
6. 맺음말
제5장 일제하 신지도의 항일민족운동
1. 머리말
2. 신지도 항일민족운동의 배경
1) 역사적・사회적 배경
2) 신교육보급운동과 그 좌절
3. 신지도의 항일민족운동 관련 사건
1) 신지학술강습소 사건
2) 신지주재소 태극기 설치 사건
3) 유언비어 유포사건
4. 신지도 출신의 항일민족운동가
5. 맺음말
제6장 일제하 진도군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1. 머리말
2. 진도군 민족・사회운동의 사회경제적 배경
1) 진도군의 주요 성씨와 동족마을
2) 주요 지주와 토지소유
3) 근대 교육의 출발
4) 진도의 유력자
3. 1920년대 진도군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1) 3・1운동
2) 농민운동
3) 청년운동
4. 1930년대 자각회의 결성과 적색농민조합 운동
1) 자각회의 결성과 해산
2) 진도적색농민조합의 결성
5. 맺음말

2부 일제하 무안군 암태도・하의도 등의 농민운동
제7장 일제하 무안군 도서지역 농민운동의 역사적 배경 - 조선후기~1910년 각 도서의 토지 상황을 중심으로 -
1. 조선후기 나주목 소속 섬들의 상황
2. 조선후기 궁방전의 역사와 유형
3. 조선후기 하의3도 토지의 상황
4. 조선후기~1910년 비금도・도초도・자은도 토지의 상황
5. 조선후기~1910년 암태도 토지의 상황
제8장 1920년대 중반 암태도의 소작쟁의
1. 머리말
2. 암태도 소작쟁의의 배경
1) 암태도의 사회・문화와 토지의 내력
2) 문씨가의 지주로의 성장과 지주 경영
3) 1920년대초 소작쟁의의 영향
3. 암태도 소작쟁의의 전개과정
1) 암태소작인회의 조직과 소작료 인하 요구
2) 지주측과의 충돌과 소작인회 간부들의 구속
3) 소작인들의 두 차례 목포 원정시위
4. 지주측과의 타협과 지주-소작인회의 재충돌
1) 지주측과의 타협
2) 지주측의 약속 불이행과 보복
3) 지주-소작인회의 재충돌
5. 맺음말
제9장 1920년대 중반 지도・도초도・자은도・매화도의 소작쟁의
1. 머리말
2. 지도 소작쟁의
1) 지도소작인공조회의 조직
2) 경찰의 소작인공조회 간부 연행
3) 소작인공조회측의 승리
3. 도초도 소작쟁의
1) 도초소작인회의 조직
2) 소작인회와 경찰의 충돌
3) 지주-소작인회 협상의 실패
4. 자은도 소작쟁의
1) 자은소작인회의 조직
2) 다도농담회의 조직과 소작인회와의 충돌
3) 소작인회의 절반의 승리
5. 매화도 소작쟁의
1) 매화도와 지주 서인섭
2) 매화도농민조합의 조직과 소작쟁의
3) 농민조합측의 패배
6. 맺음말
제10장 조선후기~해방직후 하의 3도의 농지탈환운동
1. 머리말
2. 조선후기 하의 3도와 정명공주방
1) 정명공주방의 하의 3도 농지 절수
2) 영조대 이후 하의 3도 농민들의 홍씨가를 상대로 한 농지탈환운동
3. 한말 하의 3도 농민들의 농지탈환운동
1) 한말 내장원의 하의삼도 농지 귀속
2) 홍씨가의 농간과 부당이익 반환소송
4. 식민지 시기 하의 3도 농민들의 농지탈환운동
1) 일본인 지주 우콘과 하의도민의 이른바 토지소유권 확인소송 강제 화해
2) 일본인 지주 도쿠다 야시치와 도민 간의 갈등
3) 하의농민조합 운동
5. 해방후 하의 3도 농민들의 농지탈환운동
1) 미군정하 신한공사의 출현과 3・1 소작제 실시
2) 하의 3도의 소작료 불납동맹과 7・7도민봉기
3) 정부수립 후 하의 3도 농지소유권 분쟁의 해결과정
6. 맺음말
참고문헌
인명 찾아보기
数量
 
この著者・アーティスト(박찬승)には他にもこんな作品があります。

6・10万歳運動史料集 東亜日報記事 1,2 全2巻 
¥15,972(税込)

混沌の地域社会 植民・分断・戦争期全南地域の社会史 上下2巻
¥15,488(税込)

日帝侵奪史研究叢書 11 朝鮮総督府の地方制度改編
¥8,470(税込)

日帝下島嶼地域の民族運動と社会運動 所安島・巌泰島・荷衣島などの事例
¥10,890(税込)
この出版社・レーベル(景仁文化社 キョンインムンファサ)には他にもこんな作品があります。

日帝下島嶼地域の民族運動と社会運動 所安島・巌泰島・荷衣島などの事例
¥10,890(税込)

朝鮮時代漂流中国人政策変化推移に対する研究
¥8,228(税込)

韓国種族集団研究
¥6,292(税込)

ALA-LC Romanization Tableによるハングルローマ字表記用例辞典
¥13,794(税込)

ある帝国との遭遇 13~14世紀高麗とモンゴル元
¥11,132(税込)


特定商取引法に基づく表記  会社概要  採用情報
Copyright 1962-2006 Koma Book Trading Co.LTD,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