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最大規模の韓国書籍専門店が提供する通販サイトです。このサイトに掲載されていない書籍の問合わせも受け付けております。皆様からのご意見・ご感想もお待ちしております。
お問合わせ・ご注文 komabook@komabook.co.jp
Tel:03-3262-6800・6801 Fax:03-3262-6878
カートを見る ヘルプ サイトマップ
書籍 新聞・雑誌 年鑑・統計書類 CD DVD・VIDEO ラジオ 韓国語講座 店舗案内 お役立ち情報 ご意見・ご感想
HOME > 書籍 > 歴史/地理/人文 > 商品詳細
カテゴリごとの検索結果
書籍
雑誌・新聞
年鑑・統計資料
該当する情報はありません。
CD
該当する情報はありません。
DVD・VIDEO
タイトル 韓国の大豆の歴史:起源と用途
우리 콩의 역사: 기원과 용도(ウリコンエヨクサ キウォングァヨンド)
サブタイトル
価格 ¥7,986(税込)
ISBN 9791189801687
頁数 590
巻数 1
B5
発行日 2024-12-12
出版社 자연경실 (チャヨンギョンシル)
著者 최덕경(チェドクキョン)

価格特記事項
紹介文(目次) 歴史的観点から韓国の大豆の問題を考察する。大豆の起源と伝播だけでなく、大豆を利用した土地利用法、大豆の加工とその副産物の利用、大豆の用途とその位置などを様々な角度から見る。古文書と出土遺物に基づく科学的かつ学問的ベースをもとにして、豆類と豆類文化の全面的な再解釈を図る。豆に関する豊富な人文学的洞察を提供する。

(目次)
들어가는 말: 우리가 콩을 연구해야 하는 이유 004
일러두기

제1부 [大豆]의 기원과 한반도

제1장 콩의 출토 유물과 기원지에 관한 논의
Ⅰ. 콩의 기원지에 대한 기존 연구
1. 두류의 출토 유물과 형태상의 특징
2. 콩 기원지에 관한 논의
Ⅱ. 초기의 두류(豆類): 임숙(荏菽)과 융숙(戎菽)
1. 임숙과 융숙의 문헌학적 검토
2. 임숙의 재배와 시기
3. 융숙의 전파: 동북 지역에서 중원으로
Ⅲ. 주대의 밥상과 콩[菽] 식품
소결

제2장 한반도의 콩 출토 유물과 대두 재배
Ⅰ. 한반도 초기 문헌의 콩 재배와 고려두(高麗豆)
1. 한반도 초기 문헌상의 대두
2. 북방의 숙(菽)과 『제민요술』의 고려두
Ⅱ. 중국 동북 지역과 한반도의 콩 출토 유물
Ⅲ. 고구려의 남하와 농업기술의 전파
1. 농서와 농업기술
2. 우경과 철제농구
Ⅳ. 한반도의 대두 재배와 농작법
1. 한반도 중고기의 대두 재배 실태
2. 콩 경작과 농작법
1) 기경과 파종
2) 토지 이용법
소결

제2부 콩 가공기술과 식품의 발달

제3장 콩 이용 방식과 가공수단의 발달
Ⅰ. 콩 재배의 확대와 주식(主食)으로서의 대두
1. 고대 대두 생산지의 확대
2. 주식으로서의 대두
1) 서민의 양식 168 2) 병사의 식량
Ⅱ. 콩 식품의 변천
1. 콩밥·콩잎국 단계
2. 콩죽과 콩떡[豆餠] 단계
3. 두시(豆豉), 간장 및 두부 단계
Ⅲ. 가공도구의 발달과 그 영향
1. 절구와 도정
2. 맷돌과 제분
3. 물레방아·연자방아의 출현과 경제상의 변화
1) 방아[碓]와 물레방아[水碓]
) 연자방아[碾磑]의 가동
3) 연자방아와 농업경영
소결

제4장 고대 콩 가공식품의 이용
Ⅰ. 장(醬)과 시(豉)의 출현과 가공법
1. 육장(肉醬)과 두장(豆醬)의 출현
2. 시(豉)의 출현과 보급
1) 두시의 출현과 저장 용기
2) 두시 제조법
3. 청장(淸醬)과 말도(末都)
1) 『사민월령』의 청장과 조선 청장의 특징
2) 말장과 메주
Ⅱ. 고대 콩 가공과 장 이용의 확대
1. 『제민요술』의 발효법과 작장(作醬) 2. 고대 숙(菽) 명칭의 변화와 두(豆) 보급의 확대
3. 『진간』에 반영된 장의 이용과 보급
Ⅲ. 두부의 출현과 콩나물
1. 두부의 발명과 전파
2. 콩나물의 등장과 이용
소결

제5장 두유豆油와 콩깻묵
Ⅰ. 콩기름[豆油]과 착유법
1. 유지(油脂)와 콩기름 출현
2. 착유방식과 두유
Ⅱ. 콩 부산물과 가축 사료
1. 콩깨묵과 가축 사료
2. 콩과식물과 가축사료
Ⅲ. 콩깨묵과 강남(江南)의 비료
1. 한전 작물과 콩깨묵
2. 수전과 습지 작물의 시비와 콩깨묵
Ⅳ. 콩깨묵의 비료 시기와 방법
Ⅴ. 청대 강남지역 콩깨묵의 수급: 맺음말을 대신하여

제3부 조선 장 문화의 확산과 콩식품

제6장 한반도 두장豆醬의 출현 배경과 그 문화의 확산
Ⅰ. 중국 고대 두장의 출현과 보급
1. 숙장(菽醬)의 출현
2. 고대 두장의 보급
Ⅱ. 고려두와 조선 장(醬)의 출현
1. 고려두와 융숙
2. 시즙과 청장
Ⅲ. 두장과 저장 옹기
Ⅳ. 식물성 장류(醬類)의 확대와 그 용도
소결

제7장 조선시대 대·소두의 효용과 가공식품
Ⅰ. 대 · 소두와 콩 가공식품
1. 시(豉)와 말장
1) 조선 초 · 중기의 장과 시
2) 조선 후기의 장
2. 조선의 콩나물과 두부
1) 황권(黃卷)과 콩나물
2) 두부의 제법과 식용
(1) 고려 이전의 두부
(2) 조선시대의 두부
Ⅱ. 조선시대 대 · 소두의 용도와 콩식품
1. 대 · 소두의 용도
2. 대 · 소두의 종류와 약용효과
3. 일기류(日記類)와 의궤(儀軌)에 나타난 조선의 두류식품
1) 일기류 속의 두류 식품
2) 궁중 의궤 속의 두류 식품
소결

제8장 조선의 동지 팥죽[紅小豆粥]과 그 의미
Ⅰ. 두죽(豆粥)의 유래와 한반도의 전래
Ⅱ. 동지의 의미와 그 의례
Ⅲ. 동지와 팥죽
Ⅳ. 팥죽의 효능과 그 사회성
Ⅴ. 동아시아 동지와 팥죽
1. 중국의 적두죽(赤豆粥)과 납팔죽(臘八粥)
2. 일본의 삭단동지(朔旦冬至)와 팥죽
소결
결론: 콩 문화의 전파를 덧붙임

中文目錄
中文摘要
Abstract
참고문헌
찾아보기[Index]
数量
 
この著者・アーティスト(최덕경)には他にもこんな作品があります。

韓国の大豆の歴史:起源と用途
¥7,986(税込)
この出版社・レーベル(자연경실 チャヨンギョンシル)には他にもこんな作品があります。

韓国の大豆の歴史:起源と用途
¥7,986(税込)

朝鮮シェフ ソユグのお餅の話
¥4,840(税込)


特定商取引法に基づく表記  会社概要  採用情報
Copyright 1962-2006 Koma Book Trading Co.LTD,All Right Reserved.